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BTS와 하이브의 IP 사업 모델 분석: 아티스트 그 이상의 콘텐츠 산업

by 1hour-2 2025. 5. 19.
반응형

하이브(HYBE)는 K-POP 역사상 전례 없는 글로벌 성공을 이끈 BTS(방탄소년단)를 기반으로 급성장한 기업입니다. 하지만 단순한 연예 기획사를 넘어, 현재는 아티스트 IP(Intellectual Property)를 중심으로 콘텐츠, 플랫폼, 커머스까지 아우르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BTS를 중심으로 하이브가 어떻게 IP 사업을 수익화하고, 이를 미래 산업으로 확장하고 있는지 분석합니다.

1. 아티스트 IP란 무엇인가?

IP(Intellectual Property, 지식재산권)는 음악, 이미지, 이름, 콘텐츠, 브랜드 등 아티스트와 관련된 모든 창작 자산을 말합니다. 하이브는 BTS의 음악과 영상뿐 아니라, 멤버 개별 브랜드, 세계관, 굿즈, 게임, 웹툰 등 다양한 형태로 IP의 2차·3차 확장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2. BTS IP 기반 수익 구조

하이브의 수익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 음악 및 공연 수익: 앨범, 스트리밍, 콘서트 티켓 판매 등
  • MD/굿즈 수익: 의류, 피규어, 포토카드, 공식 상품
  • 플랫폼·콘텐츠 수익: 위버스(Weverse), 게임, 웹툰 등 자체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콘텐츠 수익

2024년 기준 하이브는 전체 매출의 약 60% 이상을 BTS IP 활용 사업에서 창출했으며, 이는 단순 음반 중심 수익 구조를 넘어선 비즈니스 모델로 평가됩니다.

3. Weverse: 아티스트 중심 슈퍼 플랫폼

하이브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 ‘Weverse’를 통해 아티스트와 팬의 직접 소통 공간을 제공하며, 이 안에서 콘텐츠 소비, 라이브 스트리밍, 굿즈 구매까지 가능한 올인원 수익 구조를 구축했습니다.

  • 전 세계 250개국 사용자
  • 월간 활성 사용자 약 800만 명
  • 콘텐츠 결제, 커머스, 광고, 라이브까지 수익화 가능

Weverse는 BTS를 비롯해 뉴진스, 세븐틴, 르세라핌 등 다양한 하이브 소속 아티스트뿐 아니라 타 기획사 소속 아티스트까지 입점하며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4. 세계관(IP Universe) 기반 콘텐츠 확장

하이브는 BTS의 세계관(‘화양연화’, ‘LOVE YOURSELF’ 등)을 활용해 게임, 웹툰, 웹소설 등으로 IP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대표 사례:

  • 게임: BTS World, Rhythm Hive 등
  • 웹툰/웹소설: ‘7Fates: CHAKHO’(네이버 웹툰), ‘The Star Seekers’ 등
  • NFT·디지털 콜렉터블: 한시적 프로젝트 형태로 실험

이러한 IP 확장은 단순 팬 상품을 넘어, **독립적인 콘텐츠 산업군**으로 진화 중입니다.

5. 하이브의 글로벌 전략과 인수 확장

하이브는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다양한 기업을 인수하고 합작사를 설립해왔습니다:

  • 이타카 홀딩스 인수: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소속
  • 퀀타스 게임즈, 애드오어, Pledis 등 다각화

이로써 하이브는 K-POP 기반 IP를 글로벌 팝 콘텐츠로 확장하고 있으며, 자체 플랫폼과 IP를 결합해 아티스트 중심 종합 미디어 기업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6. 경쟁사와의 비교

항목 하이브 SM엔터 JYP엔터
IP 사업 비중 60% 이상 (Weverse, MD, 웹툰 등) 약 35% (광고, 굿즈) 약 25% (공연 중심)
글로벌 플랫폼 Weverse (자체 플랫폼) 카카오 플랫폼 의존 팬덤 앱 일부
세계관 콘텐츠 웹툰·소설·게임 전방위 확장 세계관 시도 있으나 미약 아이돌 중심, IP 수익화 제한적

결론: 아티스트가 플랫폼이 되는 시대

하이브는 BTS를 중심으로 단순한 음악 기획사를 넘어, 아티스트 IP를 다양한 콘텐츠와 플랫폼으로 확장하여 글로벌 콘텐츠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향후 K-POP 산업뿐 아니라 글로벌 문화 콘텐츠 산업 전반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보이며, 아티스트가 ‘하나의 산업’이 되는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반응형